※ 출처: https://numeroidentakaa.com/2025/03/19/live-tracker-gen-ai-in-media/ 페이지에 대한 정리입니다.
핀란드 미디어 분석가 Kalle Pirhonen이 운영하는 블로그 Numeroiden takaa에서 전 세계 70개 이상의 AI 도구 및 제품을 정리한 리스트를 공개함.
이 리스트는 다양한 공개 자료(언론사 보도자료, 연구기관 보고서, 미디어 컨퍼런스 자료 등)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음.
✅ 언론사의 AI 도입 분야 (콘텐츠 제작, 데이터 분석, 독자 참여 등)
✅ 미디어 유형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 미디어 산업 가치사슬 내 위치 (기사 작성, 편집, 배포 등)
블로그에 따르면, AI 기술이 뉴스 산업에 도입되는 방식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으며, 생성형 AI는 특히 콘텐츠 생산과 독자 맞춤형 서비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해외 언론의 AI 활용 사례
현재 글로벌 미디어에서 AI를 활용하는 방식은 크게 5가지로 나뉘어지고.
1️⃣ 뉴스 생산 자동화
✔ AI가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해 뉴스 초안을 자동 생성
✔ 스포츠 경기 결과, 주식 시황, 날씨 등 데이터 기반 뉴스에서 활발히 사용
📌 대표 사례
- 로이터(Reuters): AI가 금융·경제 뉴스 초안 작성
- AP(Associated Press): AI가 기업 실적 발표 기사를 자동 생성
- Bloomberg: AI 기반 기사 작성 및 데이터 분석
2️⃣ 음성·영상 뉴스 제작
✔ 텍스트 기반 기사를 오디오 뉴스로 변환
✔ AI가 뉴스 진행자의 음성을 학습해 자동 더빙 및 내레이션 생성
📌 대표 사례
- BBC: AI 뉴스 요약 및 오디오 뉴스 자동 생성
- Aftonbladet(스웨덴): AI 기반 뉴스 편집 시스템 구축
- NYT(뉴욕타임스): 텍스트 기사를 오디오 뉴스로 변환하는 AI 실험 중
3️⃣ 독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 AI가 독자의 뉴스 소비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기사 추천
✔ 뉴스 앱, 웹사이트, 이메일 뉴스레터 등에 적용
📌 대표 사례
- The Washington Post: AI 기반 기사 추천 시스템 ‘Heliograf’
- The Guardian: AI가 사용자 관심사에 따라 기사를 큐레이션
4️⃣ 팩트체크 및 윤리적 AI 활용
✔ AI를 활용한 가짜뉴스 탐지 및 팩트체크 강화
✔ AI 활용 윤리 가이드라인 수립
📌 대표 사례
- AFP(Agence France-Presse): AI 기반 팩트체크 시스템 운영
- The New York Times: AI 윤리 가이드라인 발표 및 AI 사용 제한
5️⃣ 다국어 번역 및 글로벌 뉴스 확산
✔ AI 기반 번역 기술을 활용해 뉴스 콘텐츠를 다국어로 자동 변환
✔ 글로벌 독자를 대상으로 뉴스 전달력 강화
📌 대표 사례
- Thomson Reuters: AI 자동 번역 기술로 다국어 뉴스 제공
- Deutsche Welle(독일): AI 번역을 활용한 다국어 뉴스 서비스
🇰🇷 한국 언론의 AI 활용 사례
한국에서도 AI를 활용한 뉴스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다만, 포털 플랫폼(네이버·카카오)의 AI 기술 의존도가 높고, 생성형 AI 기사 작성보다는 보조적 활용이 많다는 점이 해외와의 차이점
1️⃣ 기사 자동 생성 및 요약
📌 연합뉴스 - ‘AI 편집기’ 활용해 뉴스 요약
📌 조선일보 - ‘AI 리포터’ 도입, 데이터 기반 뉴스 자동 작성
📌 KBS - AI 기반 뉴스 요약 기술 적용
2️⃣ 음성 및 영상 콘텐츠 AI 적용
📌 네이버 - ‘클로바 보이스’ 활용해 오디오 뉴스 제공
📌 JTBC - ‘팩트체크 AI’로 뉴스 신뢰도 평가 실험
📌 MBC - AI 아나운서 개발
3️⃣ 독자 맞춤형 뉴스 추천
📌 네이버 뉴스 - AI 추천 시스템 ‘AiRS’ 도입
📌 카카오 뉴스 - AI 기반 개인화 뉴스 추천
🔍 한국과 해외 언론 AI 활용 비교
기사 자동 생성 | AI가 기사 초안 작성, 편집 보조 | 데이터 기반 뉴스 자동 생성 (연합뉴스, 조선일보) |
오디오·영상 뉴스 | AI 음성 뉴스, 자동 더빙 | 네이버 클로바 보이스, MBC AI 아나운서 |
독자 맞춤 뉴스 | AI 추천 시스템 도입 | 네이버 AiRS, 카카오 뉴스 추천 |
팩트체크·가짜뉴스 감별 | AI 기반 팩트체크 시스템 구축 | JTBC ‘팩트체크 AI’ 실험 단계 |
AI 윤리 가이드라인 | AI 활용 기준 명확히 수립 (NYT, BBC 등) | AI 윤리 논의 부족 |
🔹 차이점
- 해외는 AI를 뉴스 생산 전 과정에 깊이 도입하는 반면, 한국은 아직 보조적 역할에 그침
- 해외 언론은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세우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관련 논의가 부족
🔹 공통점
- AI 기반 기사 추천 및 콘텐츠 큐레이션 활발
- AI 활용한 뉴스 요약 및 음성 변환 증가
🚀 결론 및 시사점
✔ 해외 언론은 AI를 뉴스 제작, 편집, 배포까지 전 과정에 적극 활용
✔ 한국 언론은 포털 플랫폼 중심의 AI 기술에 의존하며, 뉴스 제작에는 제한적 도입
✔ AI 윤리 문제와 관련한 논의가 해외에 비해 부족
📌 앞으로 한국 언론이 나아갈 방향
1️⃣ 독립적 AI 기술 개발 → 네이버·카카오 의존 탈피
2️⃣ AI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 신뢰도 있는 AI 뉴스 생산
3️⃣ AI 기반 뉴스 생산 확대 → AI가 보조 역할을 넘어 본격적인 기사 작성까지
결국 AI 기술은 언론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될 거야. 한국 언론도 AI를 보다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거라고 봄
'W-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안 - 월패드 광고 (0) | 2025.03.26 |
---|---|
[Google Analytics] (direct) / (none) 에 대한 몇가지 예상 (0) | 2023.12.12 |
FTP까지 활용하려면 심볼릭 링크 말고 마운트로 해결하라 (1) | 2022.09.16 |
엑셀) URL 하이퍼링크 자동으로 넣기 VBA 활용 (0) | 2021.07.13 |
리눅스에서 PDF 파일을 JPG로 변환 (0) | 2019.03.29 |